'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OS와 version 체크 명령어 (0) | 2015.04.02 |
---|---|
vmware linux가 설치된 곳에 외부 모바일, pc로 원격 접속하기 (2) | 2014.11.12 |
vmware(10) tool 설치 (0) | 2014.11.04 |
Linux : not in gzip format 에러 (tar~) (2) | 2014.10.31 |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reinstall available (0) | 2014.10.31 |
[root@dbsafer .conf]# cat /etc/issue CentOS release 5.8 (Final) Kernel \r on an \m
[root@dbsafer .conf]# cat /etc/redhat-release CentOS release 5.8 (Final)
[root@dbsafer dbsafer3]# uname -a Linux dbsafer 2.6.18-308.el5 #1 SMP Tue Feb 21 20:06:06 EST 2012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 14.10 desktop mysql error 1045 에러 (0) | 2015.04.03 |
---|---|
vmware linux가 설치된 곳에 외부 모바일, pc로 원격 접속하기 (2) | 2014.11.12 |
vmware(10) tool 설치 (0) | 2014.11.04 |
Linux : not in gzip format 에러 (tar~) (2) | 2014.10.31 |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reinstall available (0) | 2014.10.31 |
server : vmware oracle enterprise linux 6
host client : windows7
connect program : putty, connetbot, linux terminer
1.vmware linux 내의 ip와 host ip를 확인한다.
1) linux : ifconfig
2) windows : ipconfig
ipv4 주소 : 61.72.200.14
2. 리눅스상에서 ip확인
172.16.126.128
3.vmware edit 누르면 virtual network editor을 누른다.
4.맨 아래의 vmnet8 nat 클릭후에 nat setting 클릭
5. add 클릭
http://oooooohi.tistory.com/admin/entry/post/
6.NAT Settings 에서 Add를 선택하여 guest OS의 IP를 입력
1) 호스트 포트는 충돌되지 않도록 1024~65535 사이의 포트를 선택한다.
2) VMware 포트는 22번 입력
(ssh는 22번 , telnet은 23번 , apache등의 웹 서비스는 80번)
3) virtualmachine ip는 linux상의 ip를 입력
4) virtual machine port는 위 설명과 동일
5) description은 참고정도 이니 무시해도 괜찮
6.다음으로 windows의 네트워크 설정으로 들어가서 network adapter vmnet8번을 더블클릭한다.
7. 상태창이 나오는데 속성 클릭
8. ipv6은 해제해주고 vmware bridge protoctl 체크해주고 확인을 눌러주면 된다.
(왜 체크해줘야 하냐면 로컬영역+vmnet1+vmnet8 요 3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프로토콜이
바로 vmware bridge protoctl이다. 그래야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이 가능하지요.)
9. Host name에 host ip를 적어주고 왼쪽 port에 vmware에 열어놨던 포트를 적는다.
10. host ip로 gust os 서버로 접속 성공하였다. 스마트폰 어플중에 connectBot이라는
ssh,telnet,localhost로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할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것도 가능하다.
connectBot : [user@hostname:port] -> [root@61.72.200.14:1988]
(**원격으로 접속후에 한글이 깨진다면*)
유니코드를 UTF-8로 변경하고 저장 종료 재시작
기본이 UFT-8이면 CP949로 변경 후 저장 종료 재시작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 14.10 desktop mysql error 1045 에러 (0) | 2015.04.03 |
---|---|
리눅스 OS와 version 체크 명령어 (0) | 2015.04.02 |
vmware(10) tool 설치 (0) | 2014.11.04 |
Linux : not in gzip format 에러 (tar~) (2) | 2014.10.31 |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reinstall available (0) | 2014.10.31 |
vmware version 10.4
tool -> 최신
1.Vmware 카테고리에 VM메뉴를 클릭한다.
아래로 내리다보면 Cancel VMware Tools Installation이 있는데 클릭해보면
sr0 cd가 mount되면서 해당 설치 디렉토리로 이동됨
2.root계정으로 작업하길 권장합니다.
작업 할 위치에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고 tool설치 파일이 있는 곳까지 이동한다.
여기서는 /home/oracle/vmwaretool 이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었고
설치파일 모든것을 vmwaretool 디렉토리로 이동시켰다.
3. 복사한 위치로 와서 VMwareToole-9.6.2-1688356.tar.gz의 압축을 푼다.
tar -zxvf VMwareToole-9.6.2-1688356.tar.gz
4. 압축을 풀었더니 vmware-tools-distrib 디렉토리가 생겼고 cd로 이동한다.
리스트를 조회해보니 설치 파일이 보인다. 실행
./vmware-install.pl
5. 오라클 계정인지 깜빡하고 다시 root 계정으로 실행시켰다
(oracle 계정으로 실행시 abort라는 에러메세지가 뜸)
6. 설치가 진행중인데 처음부터 끝까지 엔터로 넘어가면 된다.
7.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화면
Enjoy, -- VMware team
8. 업그레이드를 안해줘도 무방하지만 내눈에 보였으므로 업그레이드까지 설치한다.
해당 OS는 (linux) 32bit이므로 vmware-tools-upgrader-32를 설치한다.
./vmware-tools-upgrader-32
설치과정은 위와 동일하다. 무한 엔터
9.설치가 완료되면 linex를 한번 shutdown 시키고 가동시킨다.
10.재부팅이 완료된 화면
위 메뉴에서 enter unity mode를 클릭하면 끝
터미널 하나 열고 클릭하길 바란다.
11. 정상적으로 바탕화면에 보이는 터미널 창
* 삭제 방법*
vmware 설치파일 디렉토리에 보면 bin이라는 디렉토리가 있는데 들어가자
그러면 uninstall이라는 실행파일이 보인다. 실행시키면 삭제된다.
./vmware-uninstall-tools.pl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OS와 version 체크 명령어 (0) | 2015.04.02 |
---|---|
vmware linux가 설치된 곳에 외부 모바일, pc로 원격 접속하기 (2) | 2014.11.12 |
Linux : not in gzip format 에러 (tar~) (2) | 2014.10.31 |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reinstall available (0) | 2014.10.31 |
set sqlprompt 사용법 (0) | 2014.10.31 |
Linux로 설치파일을 받았는데 압축파일로 압축해제 할때 에러 대처
firefox로 설명해보겠습니다.
[root@dbserver ~]# cd /app
[root@dbserver app]# ls
firefox-30.0.tar.bz2 lost+found oracle oraInventory temp tmp
[root@dbserver app]# tar zxvf firefox-30.0.tar.bz2
gzip: stdin: not in gzip format
tar: Child returned status 1
tar: Rrror is not recoerable: exiting now
압축파일이 tar.gz 가 아니고 tar 일때는 z를 빼면 된다.
tar -zxvf "압축파일명.tar.gz
tar -xvf "압축파일명".tar(buz~)
tar.gz인가 tar인가 확인하고 입력해주면 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linux가 설치된 곳에 외부 모바일, pc로 원격 접속하기 (2) | 2014.11.12 |
---|---|
vmware(10) tool 설치 (0) | 2014.11.04 |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reinstall available (0) | 2014.10.31 |
set sqlprompt 사용법 (0) | 2014.10.31 |
리눅스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Oracle enterprise linux 64bit
oracle 12cR1 기준
yum으로 oracle-rdbms-server-12cR1-preinstall 다운받으려고 하면
No Packege oracle-rdbms-server-12cR1-preinstall available.
이라고 뜬다.
이럴때 쓰는 방법이 직접 다운로드 받는법이 있는데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 있어여 한다.
아래는 에러문구
[root@dbserver ~]# yum install oracle-rdbms-server-12cR1-preinstall -y
Loaded plugins: refresh-packagekit, rhnplugin
This system is not registered with ULN.
ULN support will be disabled.
shtting up install process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preinstall available.
리눅스 서버에 따라 설정이 약간씩 다르니 스냅샷정도는 찍어놔도 될듯하다.
[root@dbserver ~]# cd /etc/yum.repos.d
[root@dbserver yum.repos.d]# wget http://public.oracle.com/public-yum-ol6.repo
[root@dbserver ~]# cd /etc/yum.repos.d
[root@dbserver yum.repos.d]# wget http://public.oracle.com/public-yum-ol6.repo
Resolving public-yum.oracle.com . . . 61.111.58.32, 61.111.58.8
Connecting to public-yum.oracle.com|61.111.58.32|:80 . . . connected.
HTTP repuest sent, awaiting response . . . 200 OK
Length: 4233 (4.1K) [Text/plain]
Saving to: "Public-yum-ol6.repo"
이하생략
Installed:
oracle-rdbms-server-12cR1-preinstall.x84_64 0:1.0-11.el6
Dependency Installed:
ksh.x86_64 0:20120801-10.el6_5.6 libaio-devel.x86_64 0:0.3.107-10.el6
complete!
[root@dbserver yum.repos.d]#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10) tool 설치 (0) | 2014.11.04 |
---|---|
Linux : not in gzip format 에러 (tar~) (2) | 2014.10.31 |
set sqlprompt 사용법 (0) | 2014.10.31 |
리눅스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리눅스(linux) LVM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디비에 접속하면 SYS계정으로 접속했는지 SCOTT로 접속했는데
가끔 햇갈릴때가 있다. 물론 SHOW USER; 쳐보면 나오긴하는데..귀찮아..
SQLPROMPT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한번 알아보자
[oracle@dbserver ~]$ cd $ORACLE_HOME/sqlplus/admin/ [oracle@dbserver admin]$ ls glogin.sql help libsqlplus.def plustrce.sql pupbld.sql [oracle@dbserver admin]$ vi glogin.sqlvi로 열고 들어가면 앞에 "--" 붙은 주석이 있을텐데 신경 안써두 되고 그 아래에다가 다음 쿼리 한줄을 입력해 주고 wq! 저장종료하고 나오자.
set sqlprompt "_유저이름>"
_SYS>show user; USER is "SYS"
_SCOTT>show user; USER is "SCOTT"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not in gzip format 에러 (tar~) (2) | 2014.10.31 |
---|---|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reinstall available (0) | 2014.10.31 |
리눅스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리눅스(linux) LVM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리눅스 shell script (0) | 2014.10.31 |
[root@dbserver ~]# fdisk -l /연결되어 있는 해당 디렉토리를 보여줌 [root@dbserver ~]# fdisk /dev/sda /디스크 파티션 나누기 생성 [root@dbserver ~]# mkfs.ext3 /dev/sda(number) /파티션 나누고 포멧하기 [root@dbserver ~]# mount /dev/sda(number) /dir1 /디스크 마운트 하기 [root@dbserver ~]# df -h /디스크 용량 확인 [root@dbserver ~]# vi /etc/fstab /디스크 추가 마운트 정보를 적어줘야함총 5개의 1G 하드디스크를 추가했다.
[root@dbserver ~]# fdisk -l Disk /dev/sdc: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00000 Disk /dev/sda: 53.7 GB, 5368709120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527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4badc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26 204800 83 Linux Partition 1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sda2 26 2576 20480000 83 Linux /dev/sda3 2576 3851 10240000 83 Linux /dev/sda4 3851 6528 21502976 5 Extended /dev/sda5 3851 4616 6144000 83 Linux /dev/sda6 4616 5126 4096000 82 Linux swap / Solaris /dev/sda7 5126 6528 11259904 83 Linux Disk /dev/sdd: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00000 Disk /dev/sdf: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00000 Disk /dev/sde: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00000 Disk /dev/sdb: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00000추가된 디스크 네임은 sdb,sdc,sdd,sde,sdf 총 5개
이중에 2개는 일반적인 디스크 추가방법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3개는 추후에 포스팅 될 lvm방법으로 추가해보겠다.
지문이 길어지니 한번만 실행해보겠다. sdb 디스크를 추가하자.
[root@dbserver ~]# fdisk /dev/sdb
[root@dbserver ~]# fdisk /dev/sdb Device contains neither a valid DOS partition table, nor Sun, SGI or OSF disklabel Building a new DOS disklabel with disk identifier 0x110bf577. Changes will remain in memory only, until you decide to write them. After that, of course, the previous content won't be recoverable. Warning: invalid flag 0x0000 of partition table 4 will be corrected by w(rite) WARNING: DOS-compatible mode is deprecated. It's strongly recommended to switch off the mode (command 'c') and change display units to sectors (command 'u'). Command (m for help): n /new를 뜻한다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p /e는 익스텐디드고 여기선 프라이머리 파티션으로 나눈다. Partition number (1-4): 1 /총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눌거고 처음이니까 1입력(솔라리스는 0) First cylinder (1-130, default 1): /실린더번호는 엔터치면 알아서 잡아준다.(솔라리스는 직접입력해야함) Using default value 1 Last cylinder, +cylinders or +size{K,M,G} (1-130, default 130): +500M /1번 파티션에서 500mb주고 다음 2번은 이 과정에서 엔터치면 나머지 다 들어간다. Command (m for help): P /나누어진 파티션 정보열람 Disk /dev/sdb: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110bf577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b1 1 65 522081 83 Linux /dev/sdb2 66 130 522112+ 83 Linux /sdb의 1번 파티션으로 나눠졌다. 2번에도 똑같이 해주면 된다. Command (m for help): w /지금까지 나눴던 파티션을 저장 한다. 하지않고 나가면 저장되지 않는다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Syncing disks.
이제 파티션이 나눠졌으면 포멧을 해야한다.
리눅스 파티션 포멧 명령어는 mkfs고, 솔라리스는 newsf다.
그리고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 되는 파일 시스템 종류는 ext3고 ext4,ext2도 많이 쓴다.
윈도우는 NTFS, 솔라리스는 UFS를 사용한다. 나눠진 파티션넘버마다 포멧을 해줘야한다.
[root@dbserver ~]# mkfs.ext3 /dev/sdb1 mkfs.ext3 /dev/sdb1 mke2fs 1.43-WIP (20-Jun-2013)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1024 (log=0) Fragment size=1024 (log=0) Stride=0 blocks, Stripe width=0 blocks 130560 inodes, 522080 blocks 26104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1 Maximum filesystem blocks=67633152 64 block groups 8192 blocks per group, 8192 fragments per group 2040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8193, 24577, 40961, 57345, 73729, 204801, 221185, 401409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819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지문 관계상 2번 포멧은 쓰지 않았다. 알아서들 포멧 하세요. 그럼 이제 디렉토리를 만들고 마운트 하는 일만 남았다.
[root@dbserver ~]# mkdir /dir1 [root@dbserver ~]# mkdir /dir2 [root@dbserver ~]# [root@dbserver ~]# mount /dev/sdb1 /dir1 [root@dbserver ~]# mount /dev/sdb1 /dir2 [root@dbserver ~]# [root@dbserver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9.5G 5.3G 3.8G 58% / tmpfs 998M 80K 998M 1% /dev/shm /dev/sda2 20G 13G 5.5G 70% /app /dev/sda1 190M 159M 17M 91% /boot /dev/sda7 11G 2.5G 7.5G 25% /home /dev/sda5 5.7G 2.3G 3.1G 43% /var /dev/sr0 3.7G 3.7G 0 100% /media/OL6.5 x86_64 Disc 1 20131125 /dev/sdb1 494M 11M 458M 3% /dir1 /dev/sdb1 494M 11M 458M 3% /dir2끝이지만 여기서 리부팅 했다면 모든 마운트가 풀리고 디스크가 사라진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fstab에 등록해줘야 한다.
[root@dbserver ~]#vi /etc/fstab
# /etc/fstab # Created by anaconda on Mon Jul 14 07:23:11 2014 # # Accessible filesystems, by reference, are maintained under '/dev/disk' # See man pages fstab(5), findfs(8), mount(8) and/or blkid(8) for more info # /dev/sdb1 /dir1 ext3 defaults 1 2 /해당경로 써주고 마운트된 디렉토리, 파일시스템, 기본값과 1,2써주면 됨 /dev/sdb2 /dir2 ext3 defaults 1 2 /똑같이 해주면 됨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 package oracle-rdbms-server-12cR1-reinstall available (0) | 2014.10.31 |
---|---|
set sqlprompt 사용법 (0) | 2014.10.31 |
리눅스(linux) LVM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리눅스 shell script (0) | 2014.10.31 |
lunux(리눅스) 압축 파일 관리 (compress.tar, gzip 등) (0) | 2014.10.31 |
[root@dbserver ~]# fdisk /dev/sdc /처음 파티션을 나눠주기 위한 명령어(fdisk /dev/디스크) [root@dbserver ~]# fdisk -l /디스크 파티션 정보 [root@dbserver ~]# pvcreate /dev/sdc1 /논리적에서 물리적 볼륨으로 변환 명령어 [root@dbserver ~]# vgcreate lvm /dev/sdc1 \ /lvm이란 볼륨그룹에 3개의 물리적 볼륨을 합치는 명령어 > /dev/sdd1 \ > /dev/sde1 [root@dbserver ~]# vgdisplay /생성된 논리적 볼륨을 보여주는 명령어 [root@dbserver ~]# lvcreate -L 1500MB -n lv1 lvm /lvm볼륨그룹에서 파티셔닝 할 수 있는 명령어 [root@dbserver ~]# lvscan /생성된 논리적 볼륨 그룹을 조회 하는 명령어 [root@dbserver ~]# mkfs.ext3 /dev/lvm/lv1 /mkfs포멧 [root@dbserver ~]# df -h /하드 조회 [root@dbserver ~]#vi /etc/fstab /fstab에 디스크 파티셔닝 정보를 입력해야함
LVM이란 Local Volume Manager의 약자로 물리적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디스크로 합쳐주고
다시 논리적으로 나누어서 관리하게 해 주는 방법을 말한다. 아래에는 1gb의 용량의 디스크 3개를 LVM을 사용해서
3GM의 용량의 디스크 1개로 만들어 주고 이것을 각각 다시 1.5GB 씩 두개로 나누게 해주는 방법을 말한다.
[root@dbserver ~]# fdisk /dev/sdc Device contains neither a valid DOS partition table, nor Sun, SGI or OSF disklabel Building a new DOS disklabel with disk identifier 0xfc5b1df1. Changes will remain in memory only, until you decide to write them. After that, of course, the previous content won't be recoverable. Warning: invalid flag 0x0000 of partition table 4 will be corrected by w(rite) WARNING: DOS-compatible mode is deprecated. It's strongly recommended to switch off the mode (command 'c') and change display units to sectors (command 'u'). Command (m for help): n /new를 뜻함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p /primary로 나눔 Partition number (1-4): 1 /첫번째 파티션 First cylinder (1-130, default 1): /엔터치면 실린더넘버는 알아서 입력된다. Using default value 1 Last cylinder, +cylinders or +size{K,M,G} (1-130, default 130): /나누지 않을것이기에 엔터 Using default value 130 Command (m for help): t /t 입력 Selected partition 1 Hex code (type L to list codes): 8e /8e 입력 Changed system type of partition 1 to 8e (Linux LVM) Command (m for help): w /생성한 파티션 저장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Syncing disks. [root@dbserver ~]#
위 파티션에서 t,8e 가 추가 되었는데 이 부분이 파티션을 생성할 때 linux LVM 용으로 파티션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지문이 길어지므로 나머지 sdd, sde 이 두개의 디스크도 동일하게 위와 같이 lvm 파티션으로 생성하면 된다. 알아서 해라.
파티션 작업이 모두 끝났다면 이제 조회를 해보자.
[root@dbserver ~]# fdisk -l /생성한 파티션 조회 Disk /dev/sdd: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16dcfdbd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d1 1 130 1044193+ 8e Linux LVM /정삭적으로 LVM으로 만들어졌다 Disk /dev/sdc: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fc5b1df1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c1 1 130 1044193+ 8e Linux LVM /정삭적으로 LVM으로 만들어졌다 Disk /dev/sde: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b628b079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e1 1 130 1044193+ 8e Linux LVM /정삭적으로 LVM으로 만들어졌다 Disk /dev/sda: 53.7 GB, 5368709120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527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4badc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26 204800 83 Linux Partition 1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sda2 26 2576 20480000 83 Linux /dev/sda3 2576 3851 10240000 83 Linux /dev/sda4 3851 6528 21502976 5 Extended /dev/sda5 3851 4616 6144000 83 Linux /dev/sda6 4616 5126 4096000 82 Linux swap / Solaris /dev/sda7 5126 6528 11259904 83 Linux Disk /dev/sdb: 1073 MB, 1073741824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110bf577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b1 1 65 522081 83 Linux /dev/sdb2 66 130 522112+ 83 Linux [root@dbserver ~]#각 파티션이 나눠진 디스크를 보면 id=8e , system=Linux LVM이라고 쓰여져 있다.
아~주 잘 LVM용 파티션으로 나누어 졌다. 다음으로 넘어가자.
이젠 아까 만들었던 LVM용 디스크3개를 각각 물리적 볼륨(논리적에서)으로 변환하겠다. 오타는 용서치 않음
[root@dbserver ~]# pvcreate /dev/sdc1 / 논리적 볼륨에서 물리적 볼륨으로 변환 dev_is_mpath: failed to get device for 8:33 Physical volume "/dev/sdc1" successfully created [root@dbserver ~]# pvcreate /dev/sdd1 / 논리적 볼륨에서 물리적 볼륨으로 변환 dev_is_mpath: failed to get device for 8:49 Physical volume "/dev/sdd1" successfully created [root@dbserver ~]# pvcreate /dev/sde1 / 논리적 볼륨에서 물리적 볼륨으로 변환 dev_is_mpath: failed to get device for 8:65 Physical volume "/dev/sde1" successfully created [root@dbserver ~]#변환이 완료 되었다. 그럼 이제 물리적으로 변환했으면 이 볼륨 3개를 1개의 볼륨그룹으로 합쳐야한다.(RAID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root@dbserver ~]# vgcreate lvm /dev/sdc1 \ > /dev/sdd1 \ / 물리적 볼륨 3개를 lvm(이름 맘대로 정해도 됨)이라는 1개의 볼륨그룹으로 합침 > /dev/sde1 Volume group "lvm" successfully created [root@dbserver ~]#
3개의 볼륨을 하나의 볼륨그룹으로 합쳤고, vgdisplay 명령어를 쳐서 확인해보자.
[root@dbserver ~]# vgdisplay --- Volume group --- VG Name lvm System ID Format lvm2 Metadata Areas 3 Metadata Sequence No 1 VG Access read/write VG Status resizable MAX LV 0 Cur LV 0 Open LV 0 Max PV 0 Cur PV 3 Act PV 3 VG Size 2.98 GiB PE Size 4.00 MiB Total PE 762 Alloc PE / Size 0 / 0 Free PE / Size 762 / 2.98 GiB VG UUID pZQSHo-BZMU-4rhM-7qxX-N1aU-aD6I-CO6UrR [root@dbserver ~]#
vg size에 3gb가 있다. 하나의 볼륨그룹으로 제대로 합쳐진 상태고 이제 1.5gb씩 파티셔닝 할 차례이다.
물리적인 디스크는 fdisk로 파티션을 분할 하지만, 논리적인 LVM디스크는 lvcreate 명령어로 분할한다.(logical volume)
[root@dbserver ~]# lvcreate -L 1500MB -n lv1 lvm Logical volume "lv1" created /1개의 lvm디스크에서 파티셔닝함(여러개 가능) [root@dbserver ~]# lvcreate -L 1500MB -n lv2 lvm Logical volume "lv2" created [root@dbserver ~]#위와 같이 논리적 볼륨 lv1(다르게 네임 지어줘도 됨)이 볼륨그룹 lvm안에 만들어졌다.
vgdisplay명령어로 남아 있는 공간을 확인 한 후에 나머지 논리적 볼륨 lv2를 알아서 만들자.
다 만들었으면 lvscan 명령어로 확인해보자.
[root@dbserver ~]# lvscan ACTIVE '/dev/lvm/lv1' [1.46 GiB] inherit ACTIVE '/dev/lvm/lv2' [1.46 GiB] inherit [root@dbserver ~]#
히야. 겁나게 잘 만들어졌다.
항상 파티셔닝이 끝나면 포멧을 해줘야 한다. 리눅스에서는 포멧할때 mkfs를 사용한다.
이제 포멧해보자.
[root@dbserver ~]# mkfs.ext3 /dev/lvm/lv1 /포멧하자...하... mke2fs 1.43-WIP (20-Jun-2013)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Stride=0 blocks, Stripe width=0 blocks 96000 inodes, 384000 blocks 19200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394264576 12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8000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819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나머지 하나의 볼륨(lv2)도 알아서 말 안해도 포멧해라.
그리고 마지막 과정인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마운트하면 끝난다.
그리고 꼭 fstab에 정보를 입력해 두자.
[root@dbserver ~]# ls / app cgroup dir2 lib media net root srv usr bin dev etc lib64 misc opt sbin sys var boot dir1 home lost+found mnt proc selinux tmp [root@dbserver ~]# mkdir /dir3 /dir3 디렉토리 생성 [root@dbserver ~]# mkdir /dir4 /dir4 디렉토리 생성 [root@dbserver ~]# [root@dbserver ~]# mount /dev/lvm/lv1 /dir3 /dir3 마운트 [root@dbserver ~]# mount /dev/lvm/lv1 /dir4 /dir4 마운트 [root@dbserver ~]# [root@dbserver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9.5G 5.3G 3.8G 58% / tmpfs 998M 76K 998M 1% /dev/shm /dev/sda2 20G 13G 5.5G 70% /app /dev/sda1 190M 159M 17M 91% /boot /dev/sda7 11G 2.5G 7.5G 25% /home /dev/sda5 5.7G 2.3G 3.1G 43% /var /dev/mapper/lvm-lv1 1.5G 35M 1.4G 3% /dir3 /dev/mapper/lvm-lv1 1.5G 35M 1.4G 3% /dir4 [root@dbserver ~]# [root@dbserver ~]#vi /etc/fstab /lvm디스크 정보저장 # /etc/fstab # Created by anaconda on Mon Jul 14 07:23:11 2014 # # Accessible filesystems, by reference, are maintained under '/dev/disk' # See man pages fstab(5), findfs(8), mount(8) and/or blkid(8) for more info # UUID=147fcbc4-fddc-419e-8ece-111d5acc56d7 / ext4 defaults 1 1 UUID=7da49108-d211-4727-9152-edb7dea56f6b /app ext4 defaults 1 2 UUID=3d938562-8552-4064-bc4e-cf75b117aaea /boot ext4 defaults 1 2 UUID=f518c3a4-c3b2-4a06-8347-7184cd4f4e6c /home ext4 defaults 1 2 UUID=682a4749-3154-4915-81bb-5926fe21b909 /var ext4 defaults 1 2 UUID=4abfebb2-f61b-4878-98c4-e951aa6a9034 swap swap defaults 0 0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mapper/lvm-lv1 /dir3 ext3 defaults 1 2 /dev/mapper/lvm-lv2 /dir4 ext3 defaults 1 2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 sqlprompt 사용법 (0) | 2014.10.31 |
---|---|
리눅스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리눅스 shell script (0) | 2014.10.31 |
lunux(리눅스) 압축 파일 관리 (compress.tar, gzip 등) (0) | 2014.10.31 |
리눅스에 iptraf3.0 설치 (1) | 2014.10.31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
리눅스(linux) LVM 디스크 관리 및 추가 (0) | 2014.10.31 |
lunux(리눅스) 압축 파일 관리 (compress.tar, gzip 등) (0) | 2014.10.31 |
리눅스에 iptraf3.0 설치 (1) | 2014.10.31 |
DNS 서버구축 (0) | 2014.10.31 |